내 몸 하나 건사하기도 힘든 세상에서, 아이까지 돌보는 게 쉬운 일은 아닐 것 같은데요. 이러한 한부모가정을 위해 지원 제도가 더 확대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해서 나왔었죠. 이번 2025년, 선정 기준이 완화되거나 금액이 오르는 등 긍정적으로 바뀐 부분이 많습니다. 어떤 부분들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함께 알아볼게요.
양육비 지원 강화
Select an Image
2025년 7월 1일부터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가족을 위해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고, 이후 채무자에게 회수하는 '양육비 선지급제'가 시행 중이에요.
👉 양육비 선지급제
대상: 기준 중위 소득 150% 이하
금액: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기간: 자녀 18세까지 지원
아동 양육비의 경우 일반 한부모가족은 월 21만 원 → 월 23만 원으로, 청소년 한부모라면 최대 37만 원까지 받을 수 있고요. 자녀 학용품비 또한 중·고등학생에서 초등학생까지 확대되어 더 많은 한부모 가족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주거 지원 확대
Select an Image
👉 주거 지원, 어떻게 확대될까?
임대 주택: 2025년 주택 326호 공급 목표
보증금 최대 1,100만 원 지원
인구 감소 지역은 소득 기준 관계없이 복지 시설 입소 가능
이혼 후 가장 걱정되는 건 내가 살 '집'일 거예요. 주거가 필요한 한부모가정을 위해 2025년 주택이 더 공급되고, 보증금 지원 상한 또한 늘어납니다.
기존의 복지 시설은 소득 기준이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했는데요. 현재 인구 감소 지역은 89곳으로 선정되어 있어요. 해당 지역은 2021년 10월에 지정되었고, 5년 주기로 재지정돼요.
⭕ 인소 감소 지역 크게 본다면?
부산(3곳), 대구(3곳)
인턴(2곳), 경기(2곳), 강원(12곳)
충북(6곳), 충남(9곳)
전북(10곳), 전남(16곳)
경북(16곳), 경남(11곳)
다 지원 가능할까?
대부분의 한부모가정 지원 사업의 경우, 이혼, 별거 등으로 자녀를 홀로 양육하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의 한부모 가정이 대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자녀 연령 등 세부 조건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신청은 관할 주민센터, 동주민센터, 가족센터 또는 온라인 복지 포털(복지로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 기본적으로 주민등록증, 가족관계증명서, 소득 및 재산 증빙 서류, 한부모 가족 증명서 등이 필요하며, 일부 지원은 추가 서류를 요구할 수도 있어요.
만약 한부모 가족 증명서 발급이 필요하다면 관할 주민센터나 가족센터를 방문하여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Editor’s Comment
2025년 새롭게 변화하는 한부모가정 지원 제도는 단순히 금전적인 혜택을 넘어, 더 따뜻하고 안정적으로 보듬어주려는 사회의 노력이 담겨 있어요. 경제적 어려움으로 아이가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를 잃지 않도록 직접 나서서 지켜주겠다는 따뜻한 의지로 볼 수도 있습니다. 사랑으로 가정을 지켜온 모든 한부모들을 응원하여, 앞으로도 오늘보다 더 밝은 내일을 맞이하기를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