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서기 👩‍👧‍👦

2025년 바뀐 한부모가정 지원 제도

..
[다시] 2025 한부모가정_800x800.png
Select an Image
    
내 몸 하나 건사하기도 힘든 세상에서, 아이까지 돌보는 게 쉬운 일은 아닐 것 같은데요. 이러한 한부모가정을 위해 지원 제도가 더 확대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계속해서 나왔었죠. 이번 2025년, 선정 기준이 완화되거나 금액이 오르는 등 긍정적으로 바뀐 부분이 많습니다. 어떤 부분들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함께 알아볼게요.
   
   

양육비 지원 강화

   
[다시] 2025 한부모가정_본문01.png
Select an Image
   
2025년 7월 1일부터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가족을 위해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지급하고, 이후 채무자에게 회수하는 '양육비 선지급제'가 시행 중이에요.
    
👉 양육비 선지급제
대상: 기준 중위 소득 150% 이하
금액: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기간: 자녀 18세까지 지원
   
아동 양육비의 경우 일반 한부모가족은 월 21만 원 → 월 23만 원으로, 청소년 한부모라면 최대 37만 원까지 받을 수 있고요. 자녀 학용품비 또한 중·고등학생에서 초등학생까지 확대되어 더 많은 한부모 가족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주거 지원 확대

      
[다시] 2025 한부모가정_본문02.png
Select an Image
   
👉 주거 지원, 어떻게 확대될까?
임대 주택: 2025년 주택 326호 공급 목표
보증금 최대 1,100만 원 지원
인구 감소 지역은 소득 기준 관계없이 복지 시설 입소 가능
   
이혼 후 가장 걱정되는 건 내가 살 '집'일 거예요. 주거가 필요한 한부모가정을 위해 2025년 주택이 더 공급되고, 보증금 지원 상한 또한 늘어납니다.
   
기존의 복지 시설은 소득 기준이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했는데요. 현재 인구 감소 지역은 89곳으로 선정되어 있어요. 해당 지역은 2021년 10월에 지정되었고, 5년 주기로 재지정돼요.
   
⭕ 인소 감소 지역 크게 본다면?
부산(3곳), 대구(3곳)
인턴(2곳), 경기(2곳), 강원(12곳)
충북(6곳), 충남(9곳)
전북(10곳), 전남(16곳)
경북(16곳), 경남(11곳)
   
   

다 지원 가능할까?

  
대부분의 한부모가정 지원 사업의 경우, 이혼, 별거 등으로 자녀를 홀로 양육하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의 한부모 가정이 대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자녀 연령 등 세부 조건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신청은 관할 주민센터, 동주민센터, 가족센터 또는 온라인 복지 포털(복지로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 기본적으로 주민등록증, 가족관계증명서, 소득 및 재산 증빙 서류, 한부모 가족 증명서 등이 필요하며, 일부 지원은 추가 서류를 요구할 수도 있어요.
만약 한부모 가족 증명서 발급이 필요하다면 관할 주민센터나 가족센터를 방문하여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Editor’s Comment

   
2025년 새롭게 변화하는 한부모가정 지원 제도는 단순히 금전적인 혜택을 넘어, 더 따뜻하고 안정적으로 보듬어주려는 사회의 노력이 담겨 있어요. 경제적 어려움으로 아이가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를 잃지 않도록 직접 나서서 지켜주겠다는 따뜻한 의지로 볼 수도 있습니다. 사랑으로 가정을 지켜온 모든 한부모들을 응원하여, 앞으로도 오늘보다 더 밝은 내일을 맞이하기를 응원하겠습니다. 
   
   
고요
고요
ISFJ #세심함 #책임감 #디테일중요
Other Contents

콘텐츠 전체보기